[24학년도] 수능 국어-언매 37번
00:00
37. [보기]를 바탕으로 'ㅎ' 말음 용언의 활용 유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다음은 어간의 말음이 'ㅎ'인 용언이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날 때 보이는 활용의 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이들은 활용의 규칙성뿐만 아니라 모음조화 적용 여부나 활용형의 줄어듦 가능 여부에 따라 그 유형이 구분된다.
불규칙 활용 유형 | 규칙 활용 유형 | ||
---|---|---|---|
㉠-1 | 노랗- + -아 → 노래 | ㉢-1 | 닿- + -아 → 닿아(→*다) |
㉠-2 | 누렇- + -어 → 누레 | ||
㉡ | 어떻- + -어 → 어때 | ㉢-2 | 놓- + -아 → 놓아(→놔) |
※ '*'은 비문법적임을 뜻함.
① '조그맣-, 이렇-'은 '조그매, 이래서'로 활용하므로 ㉠-1과 활용의 유형이 같겠군. |
② '꺼멓-, 뿌옇-'은 '꺼메, 뿌옜다'로 활용하므로 ㉠-2와 활용의 유형이 같겠군. |
③ '둥그렇-, 멀겋-'은 '둥그렜다, 멀게'로 활용하므로 ㉡과 활용의 유형이 같지 않겠군. |
④ '낳-, 땋-'은 활용형인 '낳아서, 땋았다'가 '*나서, *땄다'로 줄어들 수 없으므로 ㉢-1과 활용의 유형이 같겠군. |
⑤ '넣-, 쌓-'은 활용형인 '넣어, 쌓아'가 '*너, *싸'로 줄어들 수 없으므로 ㉢-2와 활용의 유형이 같지 않겠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