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학년도] 수능 국어-언매 35번
00:00
35. [지문]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지문]
훈민정음 초성자는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든 기본자 5자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가획의 원리(예: ㄱ → ㅋ)에 따라 만든 가획자 9자와 그렇지 않은 이체자 3자가 있다. 중성자는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기본자 3자가 있고 이를 토대로 한 초출자, 재출자가 각 4자가 있다. 종성자는 초성자를 다시 쓰되 종성에서 실제 발음되는 소리에 대응되는 8자만으로 충분하다 보았는데, 이는 「훈민정음」(해례본) 용자례에서 확인된다.
용자례에서는 이들 글자를 위주로 하여 실제 단어를 예로 들고 있다. 예컨대, 용자례에 쓰인 ''은 초성자 아음 가획자인 'ㅋ'의 예시 단어이다. 이 방식을 응용하면 ''은 중성자 초출자 'ㅗ'와 종성자 아음 이체자 'ㆁ'의 예시로도 쓸 수 있다. 용자례의 예시 단어 일부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초성자 용자례]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반설음 | 반치음 | |
---|---|---|---|---|---|---|---|
기본자 | [ㄱ] | 노로 [ㄴ] | 뫼(산) [ㅁ] | 셤 [ㅅ] | 얌(뱀) [ㅇ] | ||
가획자 | [ㅋ] | 뒤(띠) [ㄷ] | 벌 [ㅂ] | 죠(종이) [ㅈ] | |||
고티 [ㅌ] | 파 [ㅍ] | 채 [ㅊ] | 부 [ㅎ] | ||||
이체자 | 러(너구리) [ㆁ] | 어름 [ㄹ] | 아(아우) [ㅿ] |
[중성자 용자례]
기본자 | /리 [ᆞ] | 믈/그력(기러기) [ㅡ] | 깃 [ㅣ] | |
---|---|---|---|---|
초출자 | 논/벼로 [ㅗ] | 밥 [ㅏ] | 누에 [ㅜ] | 브 [ㅓ] |
재출자 | 쇼 [ㅛ] | 남(거북의 일종) [ㅑ] | 슈룹(우산) [ㅠ] | 뎔 [ㅕ] |
[종성자 용자례]
8종성자 | 독 [ㄱ] | 굼(굼벵이) [ㆁ] | 반되(반딧불이) [ㄴ] | 갇(갓) [ㄷ] |
---|---|---|---|---|
범 [ㅁ] | 섭(섶) [ㅂ] | 잣 [ㅅ] | 별 [ㄹ] |
이 중 일부 단어들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여기에는 표기법상의 변화라고 할 수 있는 예와 실제 소리가 변한 예, 그리고 다른 말이 덧붙어 같은 의미의 새 단어가 만들어진 예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어름'을 '얼음'으로 적게 된 것은 표기법상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소리의 변화 중 자음이 변화한 경우로는 ⓐ'고티'(→고치)나 '뎔'(→절)처럼 구개음화를 겪은 유형이 있다. 모음이 변화한 경우에는, ⓑ'셤'(→섬)이나 '쇼'(→소)처럼 단모음화한 유형, '리'(→다리)나 ''(→턱)처럼 'ᆞ'가 변한 유형, ⓒ'믈'(→물)이나 '브'(→부엌)처럼 원순모음화를 겪은 유형, '노로'(→노루)나 '벼로'(→벼루)처럼 끝음절에서 'ᅩ → ᅮ' 변화를 겪은 유형 등이 있다. 다른 말이 덧붙어 같은 의미의 새 단어가 만들어진 경우로는 ⓓ'부'(→부엉이)처럼 접사가 결합한 유형과 ⓔ''(→갈대)처럼 단어가 결합한 유형이 있다.
※ 본문 예시에서 후음 기본자는 'ㅇ', 아음 이체자는 'ㆁ'으로 표기함.
① 훈민정음의 모든 기본자는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든 것이다. |
② 초성자 기본자는 모두 용자례 예시 단어의 종성에 쓰인다. |
③ [초성자 용자례]의 가획자 중 단어가 예시되지 않은 자음자 하나는 아음에 속한다. |
④ [초성자 용자례] 중 아음 이체자의 예시 단어는, 초성자의 반설음자와 종성자의 반설음자의 예시 단어로 쓸 수 있다. |
⑤ [중성자 용자례] 중 초출자 'ㅓ'의 예시 단어는, 반치음 이체자와 종성자 순음 기본자의 예시 단어로 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