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학년도] 고2 6월 모의고사 국어 12번
00:00
12. [지문]을 참고하여 [보기]의 중세 국어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지문]
의문문은 일반적으로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의문문은 상대 높임에 따라 다양한 의문형 종결 어미로 표현되며, 의문사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의문문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이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이다.
판정 의문문은 화자의 질문에 대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판정 의문문이 부정문일 때는 질문하는 사람에 긍정적이면 '응/예/네'로, 부정적이면 '아니(요)'로 대답한다. 판정 의문문 중 화자가 이미 알고 있거나 믿고 있는 사실에 대하여 청자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을 할 때는 어미 '-지' 또는 '-지 않-'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청자가 밥을 먹은 것을 확인하기 위해, “밥은 먹었지?” 또는 “밥은 먹었지 않니?”라는 의문문을 쓸 수 있다. 한편 “너는 학교에 갔니 안 갔니?”처럼 선택을 요구하는 의문문도 가부의 답변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판정 의문문에 포함한다.
설명 의문문은 주로 의문사가 사용되어 그 의문사가 가리키는 내용에 대하여 청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기를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의문사에는 '누구, 무엇, 어디, 언제' 등의 의문 대명사, '몇, 어떤'과 같은 의문 관형사, '왜, 어찌'와 같은 의문 부사, '어떠하다, 어찌하다'와 같은 의문 용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어디 가니?”의 경우, “학교 가요.”와 같은 대답을 요구하면 설명 의문문이다. 의문 대명사가 포함된 의문문의 경우, 상황에 따라 판정 의문문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의 의문 대명사는 정해지지 아니한 사람, 물건, 방향, 장소 따위를 가리키는 부정칭 대명사로 볼 수 있다. 앞의 “어디 가니?”의 경우, “예.” 또는 “아니요.”의 대답을 요구하면 판정 의문문이 되며, 이때의 '어디'는 부정칭 대명사로 사용된 것이다.
한편, 중세 국어에서는 현대 국어에서와 달리 보조사를 사용해서도 의문문을 만들 수 있었다. 즉, 의문사나 '-녀', '-뇨'와 같은 종결 어미 외에도 '가'와 '고'와 같은 보조사를 이용하여 의문문을 만들었다.
[보기]
[탐구 과제] 다음에 제시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중세 국어의 의문문에 대해 알아보자.
㉠ 이 리 너희 죵가
[현대 국어] 이 딸이 너희의 종인가?
㉡ 이 大施主(대시주)의 功德(공덕)이 하녀 져그녀
[현대 국어] 이 대시주의 공덕이 많으냐 적으냐?
㉢ 이 엇던 光名(광명)고
[현대 국어] 이것이 어떤 광명인가?
㉣ 太子(태자)ㅣ 이제 어듸 잇뇨
[현대 국어] 태자는 지금 어디 있느냐?
[탐구 결과] ㉠과 ㉡은 판정 의문문에, ㉢과 ㉣은 설명 의문문에 해당한다.
① 판정 의문문과 달리 설명 의문문에서는 종결 어미를 활용하였다. |
②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의문사가 따로 있었다. |
③ 판정 의문문을 만들 때는 보조사와 종결 어미를 동시에 사용하였다. |
④ 판정 의문문에 사용되는 보조사와 종결 어미의 형태가 설명 의문문과 달랐다. |
⑤ 의문사를 포함한 의문문이 청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의문문으로 쓰이기도 했다. |